Miscellaneous

4) 인적 연망을 보여주는 자료들 ?

그의 일기는 1차대전기부터 1952년까지 작성되었다. 업무와 관련된 주요 인물들과의 모든 서류가 보관되어 있는데, 이 중에는 General Collins, General Clark, General Almond, General Van Fleet 등과 논의한 1950년 말부터 1952년까지 작전관련 자료들과, 한국군 참모총장 정일권, 국방장관 신성모, 대통령 이승만, 주한미군 대사 John Muccio 등과 주고받은 서신, 보고서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시기의 서한, 공식 문건, 개인적인 문서, 부대 역사, 보고서, 지도, 사진, 연설문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디엔비엔푸 전투와 관련해서 아이젠하워 행정부의 방어 정책에 대한 그의 논쟁적인 반대 입장과 관련한 문서들도 포함되어 있다. 1) 다음과 같은 자료의 유형을 포함한다: 서한, 인사 서류, 상장/증명서, 조직상의 서류, 부대 역사, 클리핑, 신문, 보고서/연구, 일기/저널, 브리핑, 연설문, 그가 작성한 기사. 1) 다음과 같은 자료의 유형을 포함한다: 편지, 서류, 일기, 신문 클리핑, 소책자 -다음과 같은 전쟁 및 시기를 아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1915년 멕시코 국경지역 소동, 1920년대, 1930년대, 2차대전-지중해, 한국전쟁, 1950년대 -다음과 같은 군 부대와 조직을 아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14기병대, 1기병사단, 85보병사단, 7보병사단, 24군, 9군, 8군, 유엔한국재건단 -이 컬렉션은 장군의 공식적, 사적 편지 및 서류, 개인적 재정 문서, 텍사스 Fort Sam Houston의 역사와 가치에 대한 문서, 워싱턴에서 사임 기간에 받은 개인적인 편지, “2차대전기 사단 사령관으로서의 경험”, 한국에서의 조각상 봉헌식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고 있다. 1) 다음과 같은 자료의 유형을 포함한다: 구술사, 메모, 신문 클리핑, 기사, 연설문 -다음과 같은 전쟁 및 시기를 아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1차대전-서부전선, 2차대전-미국, 유럽 전구, 냉전, 그리스 내전, 한국전쟁, 1950년대, 1960년대 -다음과 같은 군 부대와 조직을 아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3보병연대, 17머신건대대 사령부, 6사단, 42보병연대, 29보병연대, 8보병연대 사령부, 4보병사단, 2보병사단 부관, 90보병사단 사령관, 23군 사령관, 3군 사령관, 그리스연합미군사고문단 사령관, 2군 사령관, 8군 사령관 -이 컬렉션은 두 명의 대통령 기간에 사절로 근무했던 것을 포함한 그의 경력에 대한 장군의 기억과 코멘트, 그리스 내전과 미국 정책에 대한 논의, 한국 문제-탄약 부족, 전쟁포로, 유엔전략, 한국군 증강, 24보병연대의 해체, 리더쉽, 훈련, 육군학교시스템, 의용군, 전투 내 재배치, 베트남, 규율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1) 다음과 같은 자료의 유형을 포함한다: 언론 클리핑, 지도, 서한/편지, 여러 출판물. Box 32와 36에는 주한미군 사령관과 유엔군 사령관으로서 리지웨이가 한국에 부임한 이후에 업무와 관련하여 수행한 연설문, 공식 보고서, 언론 보도 자료 등이 보관되어 있다. 한편 통문 등에 나타난 칠원 지역의 성씨로는 尙州周氏, 金海裵氏, 廣州安氏, 玄風郭氏, 咸安趙氏, 昌原黃氏, 晉陽姜氏, 長水李氏, 仁川李氏, 陽川許氏 등이 향교의 활동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충렬공파 종가인 이 집안에 소장된 자료는 모두 733점이다. 이 중 고문서가 아닌 것이 8점으로, 문집 2종과 족보 1책이다. 그 중 고서가 160여 점에 달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우선 姜楗의 《復齋遺稿》 6책 중 5책이 남아있다. 이 자료는 그 내용상 특별한 것은 없으나, 이미 역사가들에 의해서 조명된 바 있는 한국전쟁 이전의 남북의 국경충돌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물론, 이에 대한 KMAG 담당자의 분석을 직접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자료이다.

그러나 1951년 7월 이후의 기록은 매우 간략하다. 이 문서의 Box 20-27까지는 Chronological Files라고 명명되었는데, 여기에는 1950년 12월부터 1951년 7월까지 한국전쟁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거나 혹은 특별하게 취급되었던 모든 순간들에 대한 Appleman의 관심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ourtney Whitney가 Kansas City StarDML 편집자인 Robert W. Reed에게 보낸 1947년 4월 3일자 서한, Robert E. Cleaves가 육군대학원 교장 James Thompson에 보낸 1985년 9월의 서한, Frank E. Lowe가 Harry S. Truman 및 다른 사람들에게 보낸 분류된 우편물을 위한 운반원의 영수증, 1951년 한국에서 있었던 맥아더와 리지웨이의 지휘에 대해 언급하는 신문 기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과 같은 자료의 유형을 포함한다: 편지, 전문, 신문 클리핑, 사진 -다음과 같은 전쟁 및 시기를 아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2차대전-전반 및 지중해,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다음과 같은 군 부대와 조직을 아우르는 정보를 포함한다: 10산악사단 -이 컬렉션은 National Ski Patrol 민간 대표(civilian president)의 시작과 발전, 10산악사단의 2차대전 기록, George Marshall; Mark Clark; Franklin Delano Roosevelt; G.P. General Ridgway의 임무 자체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남겨진 자료의 성격 역시 매우 다양하다. 우선 정치인과 군인, 그리고 사회 전반적으로 부정부패와 무질서가 팽배해 있기 때문에, 한국에 대한 강력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그 이유는 James A. Van Fleet Paper의 대부분이 The Virginia Military Institute의 the George C. Marshall Library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2)주한 미군 사령관을 역임했던 James A. Van Fleet의 문서는 비교적 빈약하다. 2)한국전쟁 시에 주한미군 사령관, 미 극동군 사령관 및 유엔군 사령관을 겸임했고, 이후에 NATO 사령관 등 미국 육군의 중요한 보직을 역임했던 Mattew B. Ridgway의 문서는 이 연구소에서만 유일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서이다. 특히 한국전쟁 제1년차에 대한 기록이 중심을 이루는 이 문서는 한국전쟁 중 미군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사료이다. 이 중에는 미군의 교범을 한국어로 번역,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포병지휘관 교범이 있는데, 매우 흥미로운 자료이다. Box 22에는 리지웨이가 한국에 부임한 이후에 한국에서 발생한 중요일정에 관련된 자료가 포함되어 있는데, 대부분 8군사령관으로서의 임무이다. 저자가 전장을 방문하였을 당시 직접 그렸거나, 이후에 사진 및 보고서를 바탕으로 그린 스케치와 지도들을 보고, 이들에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이 문서를 연구하는 가장 큰 즐거움중의 하나이다. B. Coulter에게 한국정부의 훈장이 수여되고, 서울 시 한복판에 그의 동상을 제막하게 되는 배경에 대한 자세한 자료를 접할 수 있다. 인천오피 사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소장처별 해제(하위사료계열의 해제)나 개별 사료 해제를 참조하라. Appleman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당시 현장의 생생한 기록을 재현하게 되었는가에 대한 자세한 기록을 볼 수 있다.

You may also like...